본문 바로가기

ubuntu6

우분투(ubuntu) 18.04 자동업데이트 중지 설정 우분투(ubuntu) 18.04 LTS 설치 이전에 사용하던 우분투 16.04 LTS는 어른의 사정(?)으로 폐기하고, 새로이 18.04 LTS를 설치하였다. 이전에 설정했던 내용들 중에서 필요한 것들만 이전 블로그를 참고하여 설정하고 새로이 추가하거나 블로그를 작성하지 않았던 내용들을 추가 한다. 여담 : wordpress의 human 테마 포스팅 작성기는 정말 지랄 맞다. 우분투의 자동 업데이트는 ? aws나 gcp와 같은 클라우드 환경에선 cloud-init를 이용한 부팅시 자동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는데 단말기에 설치한 우분투는 어떨까. 전원을 넣고 docker를 설치하려고 하는데 lock 파일이 생성되어 진행이 되지 않는다. $ sudo apt-get upgrade E: /var/lib/dpkg/l.. 2020. 7. 31.
우분투 로컬 환경에서 데스크탑 쉐어 설정하기 데스크탑 공유를 설정 윈도우는 시스템 프로퍼티에서 리모트 데스크탑 접속을 간단하게 활성화 시킬 수 있다. 클릭 몇번만으로 가능한데 우분투 데스크탑에서도 GUI로 로그인한 상황이라면 역시 간단하게 활성화 시킬 수 있다. 로그인 후 검색도구에서 ‘데스크’까지만 입력을 하면 ‘데스크톱 공유’라는 메뉴가 표시되니 클릭하자. 데스크톱 공유 기본 설정 화면이 표시되니 아래와 같이 설정을 한다. 다른 사용자가 데스크톱을 볼 수 있도록 합니다. 이 옵션만 체크한다면 데스크톱을 보기모드로 접속되어 컨트롤을 할 수가 없다. 다른 사용자가 데스크톱을 제어할 수 있음 이 옵션을 체크를 해주어야 키보드와 마우스를 리모트에서 컨트롤 할 수 있게 된다. 매번 이 컴퓨터에 연결할 때마다 확인 이 옵션은 필요하지 않은 이상 반드시 체.. 2020. 7. 31.
우분투 데스크탑 해상도 변경 모니터가 없으면 안되는거야 ? 리눅스의 GUI환경은 그렇게 자세히는 모르는 편이라서 내가 아는 한도내에서만 남긴다. 이전에 들은 바로는 맥제품들이 뒤에 모니터를 연결해 놓지 않으면 vnc로 접속했을 경우 기본 해상도로 밖에 접속이 되지 않는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다. 우분투도 그런것인지 작업이 끝난 후 모니터를 빼고 접속하자 기본 해상도인 800×600으로 접속되어 버렸다. 이 기본 해상도는 상당히 좁아서 무언가 작업하기에는 상당히 번거로워 변경하고 싶었다. 이전 맥제품들의 경우에는 이런 경우를 대비하여 모니터 없이 연결할 수 있는 제품이 따로 있었던 걸로 아는데 괜히 비용은 들이고 싶지 않아서 조사를 시작했다. 그 이후로 세월이 흘렀으니 새로운 대비책이 나오지 않았을까 싶어서다. 그리고 요근래에 새.. 2020. 7. 31.
우분투 데스크탑 리모트 접속 환경 구축 vncserver의 한계 현재 쓰고 있는 우분투 박스는 NAS와 함께 본체만 덩그러니 책장쪽에 놓여있다. 기본적으로 ssh로 연결해서 콘솔을 이용하니 GUI 데스크탑 환경은 별로 필요성을 느끼지를 못했었다. 그런데 브라우저가 필요하거나 cli에서 실행할 수 없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기 위해 매번 데트크탑을 WOL로 껐다 켜는것도 귀찮아 우분투 박스에 GUI로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로 했다. 처음부터 ubuntu server가 아닌 ubuntu desktop을 설치한 이유도 언젠가는 이렇게 될것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맨 처음 시도한 것이 vncserver다. tightvnc와 vnc4server 등 몇가지 패키지를 설치해 보았지만 공통적인 문제점이 Unity 인터페이스가 제대로 표시 되지 않고 우.. 2020. 7. 31.
ubuntuでdockerを使いgitlabを起動した 最近色々進捗があり、開発も進めていきたいなと思った。大事な内容ではないけどやはりgithubに公開してしまうのはちょっと気になる。予定なかったけどうっかり書いちゃいけない内容を書いてしまうのが一番怖い。最近は一回ネットに上がってしまうと完璧に消すのは無理だからな。 家で運用している自宅サーバはまだまだキャパシティ残っているし、dockerも入っているのでgitlabはコンテナで起動することにした。細かい説明はネットに散らかってるからここでは本当に必要な内容だけ記載する。 dockerのinstall ubuntuにdockerは既に入っていることを前提にしているが、もし入ってなければ以下の手順を参考にして入れる。 https://docs.docker.com/install/linux/docker-ce/ubuntu/#upgrade-docker-ce 最後のhello-worl.. 2020. 7. 30.
우분투16.04에서 apache 설정하기 항상 RedHat계열 OS만 사용해오다가 처음으로 우분투를 본격적으로 사용중이다. http를 설치하려고 하니 설정파일의 구성이나 디렉토리 구조가 꽤 많이 틀리길래 잊어버리지 않게 메모용으로 남긴다. apt-get을 이용한 설치는 다른 웹사이트에서도 많이 소개되어 있으니 여기서는 커스터마이징 한 곳만 쓰도록 한다. 디렉토리 구조 처음에 apt-get으로 apache를 설치한 후 /etc로 이동한 후 httpd를 확인하려고 하니 보이지가 않는다. 초반부터 redhat계열과는 틀리다. /etc/apache2에 설치되어 있으니 디렉토리 안을 확인해 보자. 디렉토리 구조도 redhat계열과 많이 틀리다. redhat계열은 xxx.d 같은 디렉토리안에 추가할 설정파일들을 .conf확장자로 넣어 놓으면 죄다 읽어들이.. 2020. 7.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