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9

우분투 로컬 환경에서 데스크탑 쉐어 설정하기 데스크탑 공유를 설정 윈도우는 시스템 프로퍼티에서 리모트 데스크탑 접속을 간단하게 활성화 시킬 수 있다. 클릭 몇번만으로 가능한데 우분투 데스크탑에서도 GUI로 로그인한 상황이라면 역시 간단하게 활성화 시킬 수 있다. 로그인 후 검색도구에서 ‘데스크’까지만 입력을 하면 ‘데스크톱 공유’라는 메뉴가 표시되니 클릭하자. 데스크톱 공유 기본 설정 화면이 표시되니 아래와 같이 설정을 한다. 다른 사용자가 데스크톱을 볼 수 있도록 합니다. 이 옵션만 체크한다면 데스크톱을 보기모드로 접속되어 컨트롤을 할 수가 없다. 다른 사용자가 데스크톱을 제어할 수 있음 이 옵션을 체크를 해주어야 키보드와 마우스를 리모트에서 컨트롤 할 수 있게 된다. 매번 이 컴퓨터에 연결할 때마다 확인 이 옵션은 필요하지 않은 이상 반드시 체.. 2020. 7. 31.
우분투 데스크탑 해상도 변경 모니터가 없으면 안되는거야 ? 리눅스의 GUI환경은 그렇게 자세히는 모르는 편이라서 내가 아는 한도내에서만 남긴다. 이전에 들은 바로는 맥제품들이 뒤에 모니터를 연결해 놓지 않으면 vnc로 접속했을 경우 기본 해상도로 밖에 접속이 되지 않는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다. 우분투도 그런것인지 작업이 끝난 후 모니터를 빼고 접속하자 기본 해상도인 800×600으로 접속되어 버렸다. 이 기본 해상도는 상당히 좁아서 무언가 작업하기에는 상당히 번거로워 변경하고 싶었다. 이전 맥제품들의 경우에는 이런 경우를 대비하여 모니터 없이 연결할 수 있는 제품이 따로 있었던 걸로 아는데 괜히 비용은 들이고 싶지 않아서 조사를 시작했다. 그 이후로 세월이 흘렀으니 새로운 대비책이 나오지 않았을까 싶어서다. 그리고 요근래에 새.. 2020. 7. 31.
우분투 데스크탑 리모트 접속 환경 구축 vncserver의 한계 현재 쓰고 있는 우분투 박스는 NAS와 함께 본체만 덩그러니 책장쪽에 놓여있다. 기본적으로 ssh로 연결해서 콘솔을 이용하니 GUI 데스크탑 환경은 별로 필요성을 느끼지를 못했었다. 그런데 브라우저가 필요하거나 cli에서 실행할 수 없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기 위해 매번 데트크탑을 WOL로 껐다 켜는것도 귀찮아 우분투 박스에 GUI로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로 했다. 처음부터 ubuntu server가 아닌 ubuntu desktop을 설치한 이유도 언젠가는 이렇게 될것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맨 처음 시도한 것이 vncserver다. tightvnc와 vnc4server 등 몇가지 패키지를 설치해 보았지만 공통적인 문제점이 Unity 인터페이스가 제대로 표시 되지 않고 우.. 2020. 7. 31.
google adsense 승인 에러 해결기 시작… 이전에 운영하던 블로그에서는 간단하게 통과했던 google adsense 심사. 도메인을 바꾸고 하는김에 다시 시작해 볼까 싶어 오랜만에 adsense dashboard에 로그인해서 사이트를 새로 등록했다. 그리고, 에러가 떴고, 심사에서 떨어졌다. oTL 어떤 문제로 떨어졌는지 모르는 상황이고 인터넷을 검색해 보아도 워낙에 케이스 바이 케이스 인 경우인지라 별로 도움이 되지는 않을 듯 하다. 다음에 또 비슷한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으니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하나씩 남겨두기로 한다. 별도 포스팅이나 댓글로 갱신하지 않고 포스트 내용을 계속 갱신해 나가겠다. 첫번째 실패 이전 블로그에선 특별한 문제가 없었으니 간만에 로그인 했을 때에는 모든게 정상이었다. 수익도 표시 되었고 설정도 표시 되었고 다만.. 2020. 7. 31.
OpenStack nova 서비스의 policy.json 구글링한 결과 nova의 policy.json 파일내용을 발견하였기에 올린다. https://docs.openstack.org/mitaka/config-reference/compute/policy.json.html { "context_is_admin": "role:admin", "admin_or_owner": "is_admin:True or project_id:%(project_id)s", "default": "rule:admin_or_owner", "cells_scheduler_filter:TargetCellFilter": "is_admin:True", "compute:create": "rule:admin_or_owner", "compute:create:attach_network": "rule:admi.. 2020. 7. 31.
OpenStack policy.json 파일 작성 어라, 인스턴스 시작/정지/삭제가 아무나 다 되어버리네 openstack 구축 후, 유저를 만들고 로그인 해서 인스턴스도 만들고 네트워크도 설정해보고 볼륨도 만들어서 attach 시켜보고 등등 여러가지 해본 결과 특별한 문제 없이 잘 돌아갔다. 그런데 혹시나 싶어 다른 유저를 생성하여 접속해서 이전의 유저가 작성한 인스턴스를 삭제해보니 이거 왠걸, 기동/정지/삭제 모두 다 되어 버린다. 사내에서만 운영하는 것이라 특별히 신경은 쓰지 않았지만 이건 좀 안되겠다 싶어 조사를 해 보았다. policy.json에서 권한 제어가 가능 관리자 화면에서 role이 있기는 한데 도대체 권한 설정하는 화면이 보이질 않는다. 여기저기 알아 본 결과 컨트롤러에서 각 서비스의 루트 디렉토리 밑에 policy.json 파일을 .. 2020. 7. 31.
ubuntuでdockerを使いgitlabを起動した 最近色々進捗があり、開発も進めていきたいなと思った。大事な内容ではないけどやはりgithubに公開してしまうのはちょっと気になる。予定なかったけどうっかり書いちゃいけない内容を書いてしまうのが一番怖い。最近は一回ネットに上がってしまうと完璧に消すのは無理だからな。 家で運用している自宅サーバはまだまだキャパシティ残っているし、dockerも入っているのでgitlabはコンテナで起動することにした。細かい説明はネットに散らかってるからここでは本当に必要な内容だけ記載する。 dockerのinstall ubuntuにdockerは既に入っていることを前提にしているが、もし入ってなければ以下の手順を参考にして入れる。 https://docs.docker.com/install/linux/docker-ce/ubuntu/#upgrade-docker-ce 最後のhello-worl.. 2020. 7. 30.
wordpress Hueman테마 본문 폰트 사이즈 수정 워드프레스 테마로서 Hueman테마를 무척 잘 사용하고 있는 중이다. 그런데 아무리 봐도 포스트의 본문 폰트 사이즈가 너무 크다 싶어서 줄여볼려고 이리저리 노력 해보았지만 해결이 안되었는데 해결방법을 알아냈기 때문에 메모로서 남겨둔다. 본문의 폰트사이즈와 제목들의 폰트 사이즈도 조절 가능하다. 포인트는 설정뒷부분에 “!important;” 를 추가해주지 않으면 적용이 되지 않는다는 것! 테마의 커스터마이즈 설정으로 들어간다. 제일 밑의 상세설정으로 들어간다. 추가 CSS를 클릭한다. 다음 내용을 참고하여 적절한 값을 추가한다. //본문 폰트사이즈 .entry { font-size: 11pt !important; line-height: 1.5; } //제목1 .entry h1 { font-size: 24p.. 2020. 7. 30.
postfixをgmailへrelay 背景 家のインターネット回線をso-net光からNuroへ乗り換えた。結果的にすごく満足はしているけど、色々調べてもメール送信用サーバの設定方法がどこにもない。Nuroもso-net系なので設定方法は同じかなと思うけど、アカウントがないからな。。 自宅サーバのubuntuに直接smtpサーバを構築することも試してみたけど、SPFやDKIMの設定に限界があったので諦め、いい方法を探したところ、一部制約はあるけどgmailのsmtpを利用することにした。 やったこと postfixとsaslを利用してgmailのsmtpサーバへrelayする方法を以下に記載する。 メールの受信やその他の設定は何も行っていない。 gmailのsmtpサーバへrelayすることしか行っていない Nuroのプライベートネットワークは 192.168.0.0/24である OSはubuntu 16.04を利用 パッ.. 2020. 7. 30.
Windows의 제품키 표시해주는 Script 가끔씩 윈도우즈의 제품키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특히나 회사에서 PC들을 관리할때 이 PC가 대체 어떤 제품키를 이용하고 있는 중인지 파악이 안될때 매번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열어서 확인하는게 귀찮은 작업이었다. 구글링으로 검색하여 보니 아니나 다를까 같은 고민을 하는 수많은 유저들에 의해서 이미 많은 vbs스크립트가 제작되어 있었기에 그중에 아무거나 하나 골라 백업용도로 저장해 놓도록 한다. Windows7이하의 경우 Set WshShell = WScript.CreateObject("WScript.Shell") KeyPath = "HKLM\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DigitalProductId" MsgBox ExtractKey(WshShell.Reg.. 2020. 7. 30.
vi コマンドまとめ 自分で忘れないようにまとめておく。バージョンやOSによって若干違うケースもある。 移動 h, l, k, j : 左右上下へ移動 w : 次の単語の初めの文字へ移動 W : スペース文字単位で次の文字へ移動 e : 現単語の最後の文字へ移動 f[char] : charの場所へ移動、; でその次へ移動 F[char] : 逆順でcharの場所へ移動、; でその次へ移動 t[char] : charの1文字前に移動 T[char] : 逆順でcharの1文字前に移動 ^ : 行の先頭へ移動 $ : 行の最後へ移動 gg : 文書の最初の行へ移動 G : 文書の最後の行へ移動 [number]G : 指定した行へ移動 :[number] : 指定した行へ移動 ctrl + f : 次のページへ移動 ctrl + b : 以前のページへ移動 H : 現画面の最初の行へ移動 M : 現画面の真.. 2020. 7. 30.
vmstat 명령어 정리 참고 사이트 http://otsteam.tistory.com/195 http://sword33.egloos.com/5976684 vmstat명령의 출력결과 # vmstat 1 60 procs -----------memory---------- ---swap-- -----io---- --system-- -----cpu----- r b swpd free buff cache si so bi bo in cs us sy id wa st 2 0 0 1798272 219212 2574524 0 0 0 108 4206 3587 18 2 81 0 0 0 0 0 1793808 219212 2574516 0 0 24 0 5670 4096 18 2 79 0 0 0 0 0 1746812 219212 2574544 0 0 0 96.. 2020. 7. 30.
straceを利用したdebugging 7つのサンプル 原本はここ。 慣れたら色々使えそう。 7 Strace Examples to Debug the Execution of a Program in Linux 1. バイナリの追跡 straceコマンドを利用してバイナリの追跡を行う $ strace ls execve("/bin/ls", ["ls"], [/* 21 vars */]) = 0 brk(0) = 0x8c31000 access("/etc/ld.so.nohwcap", F_OK) = -1 ENOENT (No such file or directory) mmap2(NULL, 8192, PROT_READ, MAP_PRIVATE|MAP_ANONYMOUS, -1, 0) = 0xb78c7000 access("/etc/ld.so.preload", R_OK) = -1 ENOENT (No.. 2020. 7. 30.
docker 이미지의 태그 리스트 출력 요즘 들어 docker의 재미에 푹 빠져있다. 무언가 테스트 해 볼 일이 있으면 가상머신 만들고 필요한 환경 셋팅 등등 잡다한 일거리가 많았는데, docker를 쓰니 만사해결 된 듯하다. 그런데 docker를 쓰기 위해선 기존 환경을 docker에 맞추어 수정을 해주어야 한다는건 함정(?). docker이미지를 검색하는 경우엔 아래와 같은 명령어로 가능하다. $ sudo docker search [검색어] 그런데 이미지의 버전등 많은 유저들이 작성해 놓은 태그 정보를 볼려고 하니 명령어가 없는 듯 하여 찾아보니 아래와 같이 웹에서 curl로 땡겨 오는 듯 하다. $ curl -s https://registry.hub.docker.com/v1/repositories/[이미지이름]/tags 결과물은 json.. 2020. 7. 30.
WordPress에서 이미지 Lazy Load가 오작동 중 현재 워드프레스의 테마로서 Hueman을 사용중이다. 그리고 조금이라도 트래픽을 줄여볼려고 스크롤에 따라서 이미지를 로딩시켜주는 Lazy Load라는 플러그인을 설치하였다. 그런데 어느날인가 부터 Hueman 테마에서도 Lazy Load기능이 추가되어 있는 걸 보고 Lazy Load 플러그인은 무효화 시키고 테마의 기능을 사용하고 있었다. 로그파일을 보면 마우스를 밑으로 스크롤 함에 따라 이미지 파일을 불러오는게 확인되었다. 하지만 나에게만 발생하고 있는 문제일런지 모르겠지만 Microsoft Edge로 접속을 하면 이미지들이 아예 표시 되지가 않았다. 그래서 테마의 Lazy Load기능을 끄고 다시 플러그인을 유효화 해보았지만 왠걸,, 플러그인도 제대로 동작하지 않고 페이지 로딩과 동시에 모든 이미지들.. 2020. 7. 30.